생산자의 노트

[생산자의 노트] 조금씩 자주 성공하기

2sim 2021. 6. 7. 07:23
728x90

https://aha-contents.tistory.com/86

조금씩 자주 성공할 수 있는, 가벼운 것들

'나는 아무리 해도 진짜 안되던데, 저걸 해내는 사람들은 대체 어떻게 한 걸까.' 뭘 좀 해보려고만 하면 흐지부지되어버리는 나는 늘 궁금했다. 끈기 없는 자신을 탓하면서 그들은 분명 나보다

www.aha-contents.com

나는 평소 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을 구분해서 생각한다. 실패는 미시적인 관점으로만 기억해두고 거시적이 관점으로는 잊어버리려고 한다. 실패했을 때는 다음번에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말아야겠다고 다짐하지, 실패 때문에 '난 안 되나봐' 같은 자신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생각은 절대 하지 않는다. <7번 읽기 공부법> 중에서


https://ppss.kr/archives/237681

“시작이 반”보다 중요한 것: 중간을 견디는 힘

나는 개인적으로 '시작이 반'이라는 말을 무척 신뢰하는 편이다. 그런데 그에 못지않게 '중간이 가장 넘기기 어렵다'는 것도 자주 느낀다. 무엇이든 언젠가 하고 싶었던 마음을 기억하고 있다면

ppss.kr

결국 많은 일에서 핵심은 ‘중간’을 어떻게 견딜까 하는 것이다. 이 중간의 지옥을 이겨내는 경험을 여러 번 하다 보면, 어떤 일이든 슬슬 ‘중간의 지옥이로군’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이 중간의 지옥을 지나고 나면, 달릴 수 있는 평야가 있다는 것도 믿게 된다.

사실, 중간의 지옥에서 할 수 있는 것은 거의 하나밖에 없는 것 같다. 그냥 하는 것이다. 마음 속에 어떤 의심이 들고, 의욕 상실의 늪을 헤매고, 절망감이나 좌절감이 앞설 때도 그냥 하는 것이다. 다른 걸 생각하지 말고 그냥 하는 것이다. 중간의 지옥을 빠져나오는 유일한 방법은, 그냥 하는 것이다. <ppss, 중간을 견디는 힘> 중에서



글의 배치를 '왜 중간이 힘들까?'라는 ppss를 먼저 제시하고 ➡ 근데 중간의 지옥에서 할 수 있는 건 '그냥 하는 것이다' 라는 부분에서 독자가 '엥..?' 하는 의문이 들면
➡ 조금씩 자주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식이 더 낫겠다. 임팩트는 중간이 힘들까? 글이 더 있기 때문이다.




그건 그거고,
1. 지금이 중간인지 아닌지 내 기준은 어떻게 세우는 게 좋을까?
포기해야할 때와 그냥 계속 가야할 때를 구분하려면.
나만의 시그널과 신호가 있어야할 것 같다.